영천시(시장 김영석)는 마늘·양파를 수확하고 후작으로 심을 벼 종자를 생산하기 위해 자체 채종포 5ha를 조성하기로 했다.
이번에 조성되는 채종포 5ha는 종자 25M/T을 생산할 수 있는 규모로 본논 500ha를 심을 수 있는 양이다.
채종포 벼 품종은 조운벼로 국내에서 육종된 벼 품종 중 늦심기에 가장 우수한 품종으로 농업기술센터에서 다년간 시험재배한 결과 적합한 품종으로 선발된 종자다.
현재 재배되는 운광벼는 수확량은 많지만 주로 신녕 중심의 마늘·양파 후작용으로 재배할 경우 생육기간이 짧아 미질이 좋지 않고 도정했을 때 싸래기가 많아 저가미로 유통되는 등 영천 쌀 명품화에 걸림돌이 되어 왔다.
특히 조운벼는 운광벼와 비교하여 출수가 7일정도 빠르고 쌀 수량은 518kg/10a 나와 다른 조생종 품종에 비해 수량이 많고 내재해성 품종 특성을 가지며 운광벼 재배의 미질 문제가 완전히 해소 될 것으로 보인다.
조운벼의 경우 정부급종으로 공급이 안 되는 품종이기에 많은 노력과 정성을 들여 영천시가 자체생산하게 되었기 때문에 종자생산 결과에 따라 2016년 공공비축미 수매품종으로 변경도 검토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벼 자율교환 채종포에서 생산되는 벼 종자는 농업기술센터의 철저한 포장관리와 검사를 통해 수확 후 건조.정선.저장.포장 등의 시설을 거쳐 엄선된 우량종자만 내년에 농가에 공급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