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영천인구 10만2,266명 최고치 경신, 11만 명 시대 오나 - 최기문 시장 취임 때 10만234명..."시정 제1과제 탄력 받아" 지표
  • 기사등록 2019-10-18 20:12:50
  • 수정 2019-10-18 22:54:52
기사수정


[강병찬 기자]

영천시 인구수가 10만2,266명(2019.9.30.자)을 찍었다. 2017년 1월 이후 최고치다. 최기문 시장이 인구 증가를 '시정 제1 과제'로 설정해 줄기차게 주창해온 것이 드디어 탄력을 받고 있다는 지표가 나왔다.


2017년 1월 10만384명이었던 영천시 인구는 2018년 10월까지 단 한번도 10만1,000명을 넘지 못했다. 최 시장이 취임했던 2018년 7월에는 공교롭게도 10만234명을 기록해 최저치를 갈아치웠다.


최 시장은 취임하자마자 '인구 증가'를 입에 달고 다녔다는 것은 영천시민이면 모르는 사람이 없다. 취임 5개월째인 2018년 11월, 영천인구가 10만1,113명으로 올라섰다. 지난 6월에는 10만2,154명을 기록해 주위를 놀라게 했다. 7월 10만2,034명, 8월 10만1,958명으로 조정을 겪었다. 지난달 10만2,266명 최고치를 기록하며 안정기에 접어든 느낌이다.


최기문 시장은 '영천인구 11만명'을 목표로 내친김에 뿌리를 뽑을 각오를 수시로 밝히고 있다. 따라서 영천시청 주무부서의 분위기는 물론 각 읍면동에서도 결과에 고무된 듯 자발적인 '인구증가 캠페인'이 줄을 잇고, 보고되는 각종 지표도 파란불이다. 공무원들과 일반 시민들이 "노력하면 안되는 일이 어디 있겠느냐"고 자신감을 갖고 있다는 반증이다.


올해 2월 10만1,109명으로 연초 조정기에 접어들자 다시 10만1,000명대가 무너지는 것 아니냐는 불안감과 함께 최 시장의 인구증가책에 대한 피로감과 회의론이 제기되기도 했다.


△일자리와 정주여건 개선 등 근본적인 대책 마련 △페이퍼 인구(실제 이사는 오지않고 서류만 등재한 경우)의 부작용 △10만 이하로 떨어질 것에 대한 현실적 대비책의 필요성 등이 골자다. 이러한 지적은 '비판적으로 다지면서 쌓아가는 정책'에 따른 장점이 있다.


올바른 시정은 다양한 견해들을 통합하고 융합해 최적의 정책을 찾아내는 것인 만큼, 시정에 대한 비판적 지적도 나쁘게만 보지 말고 시의 적절하게 고려하고 활용한다면 보약이 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충고다.


영천시는 인구증가 요인으로 △미소지움 2차아파트의 입주(관외 유입 218명) △육군3사관학교 간부와 생도 전입(506명) △기업체 근로자·미신고전입자·관내사업자·귀농귀촌자 등 전입유도 △월평균 출생아 수의 증가(2018년 43명→2019년 51명)를 꼽았다. 인구감소는 △취업으로 인한 대도시 전출 △학기 전 상급학교 진학 및 개강 △ 저출산·고령화로 인한 자연감소를 3대 요인으로 지목했다.


시담담자는 "영천시는 △도시재생사업, 분만산부인과 준공 등 주거 및 정주여건 개선 △대중교통무료환승에 이은 복선전철 개통, 하이패스IC 신설 등 교통인프라 구축 △하이테크지구 개발, 폴리텍 대학 개교, 명문고와 장학금 육성, 경마공원 개장 등 일자리·교육 여건 확보 등 인구증가와 관련한 입체적인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면서 "시민들도 우리시가 살기 좋은 곳이라는 자부심을 가지고 지인들에게 널리 홍보해준다면, 11만 인구 달성이 결코 어렵지만은 않다"고 밝혔다.

0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yctoday.net/news/view.php?idx=5590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회원로그인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영천 제6회 작약꽃 축제...10일부터 19일까지 영천시 화북면 일대
  •  기사 이미지 영천시, 2024년 1분기 지역발전 유공자에 대한 표창 수여
  •  기사 이미지 청도읍성 예술제, 관람객 구름 인파 대 성황...미스터트롯2-박지현 가수 공연
청와대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